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개발사업/[한예종] 기업과 문화예술 II

[4주차] 그래픽 레코딩 - 시각예술과 경영의 만남

한국예술종합학교

2012. 9. 17

 

4주차 강의에서는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이은수님을 모시고 그래픽 레코딩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래픽레코딩은 회의실이나 회사 벽면에 화려하게 그려 넣은 삽화를 지칭하는 말로, 지식을 공감적이고 총체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시각예술적 기법을 사용합니다.

1) 그래픽 레코딩(Graphic Recording)

 

그래픽 레코딩에 주목하는 이유

2010년 저명한 경영 월간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ppt 대신 그래픽 레코딩을 활용한 발표, 회의, 브레인스토밍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보도함. 그래픽 레코딩은 ppt와 달리 회의나 발표 내용이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고 열린 구조로, 여러 사람들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합의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

 

■ 그래픽 레코딩 소개

회의자료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임. 너비가 3m가 넘는 규모의 1장의 그림 안에서 모두 표현이 가능함, 기업벽화의 개념. 인간은 상상력이 개입되었을 때 가장 기억을 잘한다고 함. 모두가 의논했던 것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고대 암각화나 벽화에서 쓰이던 역사적으로 검증된 방법임. 융통적/상호적 도구를 제공하여 언어보다 더 많은 것들을 담아낼 수 있음.

 

그림으로 된 이야기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시스템적 관점/간소화/극적/전략적/의사소통/통합적/감정적 동기 부여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음.

*그래픽 레코더: 그래픽 레코딩 전문가로 그림 실력은 물론, 언어능력까지 갖추어야 함. 해외에는 숙련된 그래픽 레코더들이 이미 많이 활동하고 있음 (예시 동영상 http://youtu.be/NugRZGDbPFU). 보통 작업 건 당 400만원 이상 받을 정도로 전문직업으로 인정받고 있음.

 

■ 그래픽 레코딩 실행 과정

1단계 히스토리 매핑:

기업이 역사와 설립 과정을 되짚어봄. 필요성을 간과하기 쉬우나 결과적으로는 반응이 가장 좋게 나오는 단계, 통찰력을 가지게 되며 참여자의 적극성을 부여할 수 있음

 

2단계 컨텍스트 매핑:

사회, 정치, 경제, 소비자 관계 등 정황을 분석함. SWAP 등의 방법을 활용하기도 함

 

3단계 비저닝:

미래상을 이미지나 인용구로 구축함. 조직원들이 진정 원하는 것을 도출할 수 있음

 

4단계 빅 볼드스텝:

미래상을 현재 일 같이 구체적으로 풀어내는 과정. 미래의 일을 현재 것처럼 만들어 기록함

 

5단계 시각화된 공략계획/그래픽 게임플랜:

앞서 상정한 광범위한 목표들을 세분화

 

6단계 보고서/미팅/도큐멘테이션:

그래픽 레코딩 결과를 정리함

 

■ 해외의 그래픽 레코딩 활용 사례

Bigger picture in DK (www. biggerpicture.dk)

기업의 경영이슈를 그림 및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여, 복잡한 경영문제의 본질의 논의할 수 있도록 돕는 그래픽 레코딩(Graphic Record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덴마크 회사임. 2003년 설립되었으며, 15명의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는 컨설팅 그룹. 전략 컨설턴트, 일러스트레이터, 교육 코디네이터, 영화제작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팀을 이루고 있음. 파워포인트로만 이루어졌던 회의에서 그림으로 내용을 전달하고, 그림을 통해 회의의 결과를 기억에 남게 요약하며,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사업의 본질을 전달하고, 비전을 나타냄

 

크리스티나 머클리 (www.shift-it-coach.com)

유명한 비주얼 코치로 비주얼 코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함. 해외에서는 이미 비주얼 코치를 정립된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음

 

서니브라운 (sunnibrown.com)

서니 브라운이라는 비주얼 레코더의 회사로, 복잡한 아이디어의 시각화와 게임스토밍으로 유명함. 대규모의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게 주특기임. 낙서혁명 그룹을 조직하기도 함

 

■ 그래픽 레코딩 적용범위

- 기획과 비전 설계를 위한 워크샵

- 리더십 워크샵: 일종의 지침서인 그래픽 가이드 사용

- 시각적 시나리오 계획회의

- 경영변화 프로젝트

- 마케팅, 브랜딩 정체성 구현 포지셔닝

- 중재 갈등 관리 세션

- 포커스 그룹

- 브레인스토밍 세션

 

■ 시사점 및 성공을 위한 제언

- 기존 컨설팅 방법론을 활용하는 가운데, 매개 아티스트의 능력에 기대어 순식간에 그림으로 그려내는 것이 그래픽 레코딩의 핵심

- 시각예술과 기업전략미션과 결합된 대표적 예술활용경영 사례

- 타 장르의 유사 사례로도약대 스토리텔링을 들 수 있음: 기업의 비전을 스토리로 표현하면,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음(스티브 듀닝, 월드뱅크)

- 그래픽 레코딩의 국내 도입 관건은 과정의 체계화, 국내 문화에 맞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개발하는 데에 있음(작년 그래픽 레코딩 시도에서 도출된 시사점)

- 기업의 직원으로 고용되어 업무를 통합하는 능력을 갖춘 그래픽 레코더가 있으면 좋을 것임

- 그래픽 레코딩을 활용한 전시회를 시행한 국내 기업의 사례: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했으며, 더욱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음

- 2012 <문화예술을 통한 통합 기업공헌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넥서스 커뮤니티의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과정에 그래픽 레코딩을 도입하는 안 검토

 


 

2) 베트남 투자진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조사(Tran Thu Cuc)

 

■ 베트남 진출 국내 기업의 현지 문화 적응 어려움

- 13년 간 2600건의 노동쟁의 발생할 정도로 서로 소통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 왔음

- 현재, 진출 기업의 40% 정도가 사회책임경영을 시행하고 있으며, 25%정도 계획 중에 있음(KOTRA)

- 우수기업 시상 2011 등 사회공헌에 대한 인식이 싹트고 있는 시기이나 활동은 의료봉사, 주택이나 시설 건립 위주

- 문화공헌활동의 경우 KEB와 금호 아시아나에서 베트남 국립음악원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KOICA 등 정부기관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나, 대중문화에 한정됨

 

■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유형을 개발하고자 함

- 기업 내의 한국인 및 베트남인이 함께하는 예술프로그램의 기획 등

- 참고 사례: LG 디스플레이의 <즐거운 직장 만들기>

- 인터 컬쳐 액티비티: 한중 노래모음 CD 제작, 각국 가요 경진대회, 한국문화 체험 행사, 조이풀 멤버 해외판매법인 파견 등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