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컨설팅 및 실행사업/2012년 실행사업

4.1 [린나이 코리아] 성과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Rinnai Korea

 

- 인터뷰: 김재홍 린나이 코리아 차장

 

Q 기업에서 오케스트라 단원에게 지원하는 특별한 혜택은?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3분의 1 전문과정을 통해 유학까지 다녀온 아티스트를 오디션을 통해 선발하고 나머지 우리 단원들은 군악대 출신이라든가 음악을 전문한 단원들을 모집해서 선발합니다. 오케스트라 단원 중에는 사무직 직원도 있으며 음악을 연주하고자 하는 열정 때문에 회사에 입사를 하고 현장에서 일을 하는 아티스트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운영에 지원합니다. 대부분 42명의 단원들에게 제공하는 인건비를 제외하고 매년 4 정도의 예산을 오케스트라에 투자합니다.

 

Q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기업 직접 미치는 영향은?

1년에 50 정도의 공연을 통해 사원들에게는 일종의 자긍심을 제공합니다. , 연주자는 연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일하는 직장에서의 연주를 통해 동료들에게 행복을 주고 고객들과 사회를 위한 공헌활동의 의미가 큽니다.

 

Q 아르꼼을 통한 기업창의학습의 참여한 의미는?

1000명의 린나이 직원 전문 연주자이고 직원인 오케스트라 단원은 42명이고 외에도 각종 악기동호회를 별도로 운영해 왔는데 오케스트라 단원이 일반 직원들의 예술강사로 지도하는 것은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는데, 아르꼼에 참여하여 사내에 있는 동료들을 전문연주 단원들이 지도를 하는 것을 시도함으로 그간 대외적인 연주활동에 바빠서 하지 못했던 의미있는 시도를 하게 되었고 일반 직원들의 연주실력의 향상을 거두었고, 조지 소통 증진과 화합의 분위기 형성했습니다.

현재의 예술교육지원은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집중되어 있고 일반청장년층에 대한 지원은 아직 미흡한 편이며, 기업 체육활동 지원은 많아도 예술을 조직원 대상 교육으로 진행하는 곳은 없는데 린나이코리아 사례가 사회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지 않았나 자평해 봅니다.

 

Q 아르꼼 프로젝트 진행 이후, 참여 조직원들의 만족도와 반응과 프로젝트 이후, 참여 조직원들의 행동이나 태도에 변화는?

아르꼼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직원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이러한 활동이 삶의 활력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보통 직원들의 하루 일과는 10시간에서 많게는 12시간 근무를 하고, 귀가 후에도 특별한 일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그분들이 음악활동을 통해서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에 집중하면서 해소하고, 악기를 배우면서 일상에 돌아올 있는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참여한 직원들은 점심시간은 물론 업무가 끝난 시간에도 스스로 나와서 연습을 하면서 능동적인 변화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Q 아르꼼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직원들의 업무능률 성과는?

다른 생산라인에 비해, 오케스트라 단원인 조직원 생산라인의 생산량과 품질도 면에서 향상된 부분이 증명되었습니다. ’재미있고 즐겁게 하자라는 저희 단원들의 슬로건입니다. 아르꼼을 통해 예술교육에 참여했던 조직원들이 악기 연주를 계속한다면 내면의 긍정적인 변화가 삶을 변화시키고, 업무에서도 능률을 높일 있다고 생각합니다.

 

Q 린나이 코리아의 문화예술 동호회 지원수준은?

린나이는 타회사에 비해 동호회 개수는 많은 편입니다. 대부분 사원들이 하나 이상의 동호회에 들고 있습니다. 악기 동호회 역시 인기 동호회입니다. 동호회 운영비는 동호회에 가입하면 직원들의 급여에서 일정금액을 충당하고, 회사에서 나머지 부분을 지원해 주는 시스템 입니다. 색소폰 동호회는 50 정도가 참여하는 규모와 전통있는 동호회로, 최근에 회사에서 방음시설을 새로 증축하는 지원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Q 기업과 예술의 공동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대한 제언

직원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면 예술가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되고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고 사내 예술교육의 강사로도 활용할 있음에도 직원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기업은 우리나라에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린나이 코리아 사례는 정말 귀한 사례입니다. 이제 문화예술을 통한 창의경영을 시도하는 입장에서 조직원들을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운영했을 일어날 있는 가치들을 예측하기 어려운데 린나이 사례를 통해서 장기적인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을 투자는 분명 문화마케팅에도 도움이 되고 기업 사회공헌 활동에도 기여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 조직원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 제언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