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클리핑

[조선일보] 인터뷰, 이종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중앙 집권적인 애플, 수평적 소통 공간인 페이스북사옥은 그 조직 문화를 고스란히 드러내

▲ 이종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아르꼼에서 조직공간에 대해 연구를 담당해주신 이종호 교수님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문화예술이 기업의 조직 공간에 어떻게 접목되어가고 있는지 배경과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해주신 이종호 교수님의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숲 속에 내려앉은 우주선"이라며 사람들이 부러워 마지않는 애플의 신사옥이 지어지고 있다. 그러나 만에 하나 오늘날 혁신의 상징 기업 애플이 앞으로 그 혁신의 지속에 실패하는 상황이 온다면 나는 아마도 그 이유를 바로 그 신사옥 때문이라 말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 공간이 대단히 강력한 중앙집권적, 일원적 시스템으로 잡스가 지휘하던 시절 애플의 조직 문화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공간은 또한 창의적 업무 공간의 핵심어인 '우연한 만남'의 유발과는 거리가 멀다. 픽사 사옥 시절에 성공했던 잡스의 '중앙 홀'은 애플의 홍보와 달리 이곳 신사옥에서는 찾아지지 않는다(잡스가 픽사 사장 시절 지었던 픽사 사옥은 남녀 화장실 4, 회의실 8, 카페, 식당이 모두 거대한 중앙 로비에 몰려 있다. 직원들이 의도하지 않게 만나야 창의성이 배가된다는 생각에서였다).

 

오히려 다른 곳에 지어지고 있는 페이스 북 신사옥이 그 특성에 가깝다. 그곳에서는 개별 공간들의 경계가 모호하다. 쉽게 읽히는 전체 질서도 없다. 내부와 외부, 지상과 옥상도 그저 물 흐르듯 연결되고 있다. 요한 하위징어가 지적하는 것처럼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가 서식 가능한 다원적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문화를 이끄는 인간형들이 서로 부딪히며 예기치 않은 창의를 일으킬 듯한 공간이다.

 

기사 원문 보기